전체 글247 ‘데이즈 곤’, 고립에서 피어나는 감정 생존 본능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불린다.우리는 혼자 살아가기보다는누군가와 함께 어울리며 관계 속에서 의미를 찾는다.하지만 때로는 그 관계가 단절되고,혼자 남겨지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특히 생존을 위협받는 극한의 상황에서‘고립’은 단순한 외로움의 문제가 아니라,삶과 죽음을 가르는 변수로 작용한다.게임 데이즈 곤(Days Gone) 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좀비 아포칼립스 세계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주인공 디컨 세인트 존의 여정을 통해,고립된 상황 속 인간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어떻게 생존 본능을 발휘하는지를 보여준다.총과 바이크,그리고 피폐한 대자연이 배경이 되지만,단순한 액션 게임으로만 보기는 어렵다.이 게임의 중심에는 ‘고립된 인간의 감정’,그리고 ‘생존이라는 본능적 갈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2025. 9. 23. 이강인, 즉흥성 뒤에 숨은 감정의 비밀 스포츠 선수의 플레이를 볼 때 우리는종종 단순한 기술의 조합을 넘어서는 순간을 경험한다.특히 축구에서는전술과 규율 속에서도 갑작스럽게 터져 나오는 창의적인 움직임이관중의 시선을 사로잡는다.이강인은 바로 그런 순간을 만들어내는 선수다. 그의 플레이에는 즉흥성과 창의성이 살아 숨 쉬고 있다.예상치 못한 드리블 돌파,한순간의 패스로 흐름을 바꾸는 시야,그리고 경기장 분위기를 단숨에 바꾸는 결단력이 대표적이다.이강인을 설명할 때 흔히 “천재성”이라는 단어가 쓰이지만,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그의 창의성은 단순히 기술적 능력이 아니라,축구를 대하는 감정적 태도와 연결되어 있다. 즉흥적 선택은 두려움 없는 마음에서 비롯된다.창의적 움직임은 자신이 축구를 사랑한다는 감정에서 기인한다.따라서 이강인의 축구는 단순한 운동 .. 2025. 9. 23. 법과 정의, 감정은 배제되어야 하나? 드라마가 던진 묵직한 화두 드라마 ‘비밀의 숲2’는 단순한 수사극을 넘어선다.시청자는 매회 차갑게 흘러가는 장면 속에서,인간이 본능적으로 갈망하는 정의와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냉정함 사이의 간극을 마주하게 된다.이 드라마가 특별한 이유는,범인을 잡고 사건을 해결하는 단순한 형식에 머무르지 않고,정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인간의 감정이 어떤 역할을 하며,때로는 어떤 방해 요소가 되는지를 집요하게 탐구한다는 점이다. 특히 검찰과 경찰의 갈등을 중심에 둔 시즌2는,제도라는 틀 안에서 정의를 어떻게 바라보고 실행할 수 있는지 묻는다.여기서 정의란 단순히 법에 의거한 결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피해자의 억울함을 풀고,사회 전체가 납득할 수 있는 질서를 세우는 과정 자체가 정의일 수 있다.그러나 냉정하게 법의 조항만 따질 때,혹은 인간.. 2025. 9. 23. 신화를 장난처럼 풀어낸 게임, 그러나 감정은 진지하다 우리는 흔히 ‘신화’라는 단어에서 무거움과 장엄함을 떠올린다.하늘을 가르고 천둥을 휘두르는 제우스,인간의 운명을 농락하는 신들의 이야기.이런 전통적인 신화의 이미지는경외심을 자아내지만 동시에 거리감을 만든다.인간의 언어로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영역,즉 일종의 ‘신성한 서사’로 여겨지는 것이다.하지만 Immortals Fenyx Rising은 이 전제를 완전히 뒤집는다.이 게임은 그리스 신화를 무겁게 재현하는 대신,장난스럽고 풍자적인 어투로 해체해낸다.우스꽝스러운 대사와 유머러스한 장면을 통해,신들을 마치 인간처럼 실수하고 다투며 감정적으로 흔들리는 존재로 그린다.이런 연출은 처음에는 ‘가벼움’으로 보이지만,플레이를 이어갈수록 놀랍게도 플레이어의 몰입과 감정이입을 이끌어낸다.신화는 인간의 감정을 담은 이야.. 2025. 9. 22. 관계의 시작이 주는 감정의 떨림 우리는 언제 가장 강하게 가슴이 뛰는가.사람마다 답은 다르겠지만,많은 이들은 ‘누군가와의 관계가 시작될 때’를 떠올릴 것이다.처음 눈이 마주쳤을 때,처음 목소리를 들었을 때,처음 함께 걷는 길 위에서 미묘한 침묵이 흐를 때.이 모든 순간들은우리가 아직 서로를 잘 모른다는 불완전함에서 비롯되며,그 불완전함이야말로 설렘의 본질이다. 영화 〈비포 선라이즈〉(Before Sunrise)는바로 이 설렘의 정수를 포착한 작품이다.1995년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오스트리아 빈행 열차에서 우연히 마주친 두 청춘 남녀,제시와 셀린이 단 하루 동안 함께 도시를 걷고 이야기하는 여정을 담고 있다.눈에 띄는 갈등도, 극적인 사건도 없다.그렇기에 이 영화는 더욱 특별하다.왜냐하면 현실에서 사랑은 대부분 그.. 2025. 9. 22. 왜 우리는 모두 ‘미생’일 수밖에 없는가 누구나 한 번쯤은 삶을 향해 전력 질주하다가문득 ‘내가 가는 이 길이 맞는 걸까’라는 의문에 멈춰 선 적이 있을 것이다.특히 사회 초년생 시절에는 그 의문이 매일같이 가슴을 두드린다.드라마 〈미생〉은 그런 불안과 고민의 심연을 들여다본다.이 작품은 단순히 직장인의 애환을 그린 드라마가 아니다.그보다는 사회라는 체계 속에서개인이 자신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을 어떻게 받아들이고또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에 대한 심리적 여정을 다룬다. 극 중 장그래는 바둑이라는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려 했지만프로 입단에 실패하며 무너진다.그리고 전혀 새로운 세계인 ‘회사’라는 조직 속으로 내던져진다.이 순간부터 장그래는자신의 이상과 현실이 충돌하는 순간들을 수없이 맞닥뜨리며 성장한다. 많은 이들이 〈미생〉에 몰입한 .. 2025. 9.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2 다음